
[Artificial Intelligence] 03. Search (3): adversarial search
두 개 이상의 에이전트가 서로 적대적인 관계를 가정하고 탐색하는 문제에 대해서 다룹니다.

두 개 이상의 에이전트가 서로 적대적인 관계를 가정하고 탐색하는 문제에 대해서 다룹니다.

RL(강화학습)의 토대인 탐색 알고리즘, 특히 정보가 주어진 상황(heuristic 기반) 다룹니다.

RL(강화학습)의 토대인 탐색 알고리즘, 특히 정보가 주어지지 않은 상황부터 다룹니다.
##

0. Go의 특징 고수준 언어 정적 컴파일 언어 강 타입 언어 GC(Garabage Collector) 有 일반적으로 백엔드 서버,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활용 구조체와 메서드 지원, 상속 지원 X, 인터페이스 제공, 익명 함수(함수 리터럴) 제공, GC 제공, 포인터 제공, 제네릭 X, 네임스페이스가 아닌 패키지 단위로 코드 분리 ...

01. GOLANG을 학습하는 이유 학습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Lattigo를 더 잘 다룰 수 있기 위함이다. C++이라는 typcial하고 general한 HW 친화적인, 빠르고 강력한, 고정밀의 언어를 두고, 왜 Lattigo라는 라이브러리가 등장하였을까. GOLANG도 그만큼 FHE 생태계 내에서 강력한 언어로써 자리잡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예전엔 WAS(웹서버) 즉, Tomcat에 직접 java 코드 밀어넣었지만, 지금은 외부 라이브러리 설치하면 embedded 되어서 tomcat 설치됨

Bellman-Ford 알고리즘에 대해서 다룹니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에 대해 다룹니다.

Minimum Spanning Tree와 대표적인 알고리즘인, Kruskal과 Prim 알고리즘을 다룹니다.